-
[03월15일 주식,채권,FX,유가 리뷰 & 프리뷰] 아직 연준이 필요한 CPI…주식↑채권↓달러 혼조글로벌 주식 시황 2023. 3. 15. 08:34728x90반응형SMALL
[03월15일 주식,채권,FX,유가 리뷰 & 프리뷰] 아직 연준이 필요한 CPI…주식↑채권↓달러 혼조
[Summary]
1. 14일(미 동부시간) 뉴욕증시는 은행주들이 급반등하고 2월 물가가 예상치에 부합하면서 상승했음.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6% 올랐음.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68% 상승했고,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14% 상승했음.
2. 미 국채 가격은 하락했음. 미국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여전히 견조한 양상을 보이면서 채권 매도세가 나타나 미 국채수익률은 다시 올랐음.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에 이어 크레디트스위스(CS) 연례보고서 유동성 우려까지 나타나면서 집중됐던 채권 매수세는 CPI로 시선이 이동하고, 은행주가 오르면서 매도로 전환됐음. 미국 국채 단기물 수익률은 급반등하는 등 극단적인 안전자산 선호 현상의 완화를 시사했음.
3. 달러화 가치는 예상에 부합한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보합권을 중심으로 혼조세를 보였음.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은 다소 둔화된 것으로 풀이됐음. 다만 연준이 비둘기파적인 행보로 선회할 정도도 인플레이션 압력이 줄어들지는 않은 것으로 풀이됐음.
4. 뉴욕유가는 미국 은행들의 파산 여파를 주시하며 그에 따른 경기 위축 우려에 큰 폭 하락했음.
5. 이날 시장 참가자들은 은행 리스크와 더불어 2월 미국 CPI의 견조한 양상에 주목했음. 미국 노동부는 이날 올해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6.0% 올랐다고 밝혔음. 2월 CPI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이코노미스트들의 예상치인 6.0% 상승과 같았음. 2월 CPI는 전월치 6.4%에서도 상승세가 둔화했음. 2월 CPI는 전월대비로는 0.4% 올랐음. 이 역시 WSJ 예상치와 같았음. 2월 CPI는 전월치 0.5% 상승보다도 상승 속도가 조금 느려졌음.
6. 변동성이 큰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도 시장 예상 수준을 나타냈음. 2월 근원 CPI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5% 올랐음. 시장의 예상치인 5.5% 상승과 동일. 2월 근원 CPI는 전월치인 5.6%에서 조금 둔화했음. 2월 근원 CPI는 전월 대비로는 0.5% 올랐음. 이는 WSJ 예상치이자 전월치인 0.4% 상승보다 소폭 높은 수준.
7. 임금도 하락세를 나타냈음. 2월 시간당 평균 실질 임금(계절 조정치)은 전월 대비 0.1% 하락했음. 전달에는 0.3% 하락했던 임금이 두 달 연속 내림세를 보인 것.
◇주식시장
1.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36.26포인트(1.06%) 오른 32,155.40으로 거래를 마쳤음.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64.80포인트(1.68%) 상승한 3,920.56으로,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39.31포인트(2.14%) 뛴 11,428.15로 거래를 마쳤음. 투자자들은 지역 은행 파산에 따른 여파와 2월 소비자물가 지표 등을 주시했음.
2. 실리콘밸리은행(SVB)과 시그니처은행의 파산으로 불거진 금융시장 불안은 당국의 개입 등으로 다소 진정된 모습. 지역 은행주들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시장이 오름세로 돌아섰음. 제2의 SVB로 지목되며 최근 폭락했던 퍼스트 리퍼블릭의 주가가 27%가량 올랐음. 찰스 슈왑의 주가도 최고경영자가 이날 회사의 주식을 매입하고, 고객들의 예치금이 큰 규모로 계속 유입되고 있다고 밝히면서 9% 이상 올랐음. 키코프와 자이언스 뱅코프의 주가도 각각 6%, 4% 이상 상승했음. 대형 은행 중에는 씨티그룹과 웰스파고의 주가가 각각 5%, 4% 이상 올랐고, JP모건의 주가는 2% 이상 상승했음. S&P 지역은행 상장지수펀드(ETF)는 2% 이상 올랐음.
3. 전문가들은 이번 상황은 2008년 금융위기 때와는 다르다며 대형 은행들이 이전보다 건전하다는 점에서 유동성 위기로 전이되진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다만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미국 은행권의 영업 환경이 빠르게 악화한 점을 고려해 은행 시스템에 대한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내려 은행권에 대한 압박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됐음.
4. 무디스는 연준이 긴축으로 인해 은행권의 압박이 지속되고 악화할 것으로 내다봤음. 특히 소매 기반 고객이 부족하고 상당한 미실현 증권 손실이 있는 은행들은 상대적으로 예금자 이탈에 더 민감할 수 있다고 경고했음.
5. 이날 2월 소비자물가가 예상치에 대체로 부합한 점은 투자자들에게 안도감을 제공했음. 미 노동부는 올해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6.0% 올랐다고 밝혔음.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이코노미스트들의 예상치인 6.0% 상승과 같은 수준이며, 전월의 6.4%보다 둔화한 것. 2월 전년 대비 상승률은 2021년 9월 이후 2년 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 2월 CPI는 전월 대비로는 0.4% 올라 시장의 예상치에 부합했고, 전달의 0.5% 상승보다 둔화했음.
6. 변동성이 큰 음식료와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2월 근원 CPI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5% 올라 시장의 예상치에 부합했고, 전월 대비로는 0.5% 올라 예상치인 0.4% 상승을 소폭 웃돌았음.
7. 금융시장 불안으로 연준이 금리를 공격적으로 인상할 가능성은 크게 줄었음. 다만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연준의 목표치를 웃도는 만큼 긴축 기조는 이어갈 것으로 예상됨. S&P500지수 내 11개 업종이 모두 올랐으며, 통신과 기술, 금융 관련주가 2% 이상 올랐음.
8.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연준이 시장의 불안과 인플레이션을 모두 고려해 3월 회의에서 0.25%포인트 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예상했음. LPL파이낸셜의 제프리 로치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CNBC에 "현재의 금융 공포 속에 연준은 성장보다 물가 안정을 우선시해 다가오는 회의에서 0.25%포인트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고 말했음.
9. 알리안츠 인베스트 매니지먼트의 찰리 리플리 포트폴리오 관리 담당 부사장은 당국의 지원 조치로로 "심리가 바뀌었거나 어느 정도 흐름이 바뀌었다"라며 "(보통 이런 경우) 즉각적인 반응으로 시작했다가, 세부적이 내용을 살피는 데 얼마의 시간을 보내고, 실질적 위험과 노출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라고 말했음.
10. 블리클리 파이낸셜 그룹의 피터 부크바 최고투자책임자(CIO)는 CNBC에 "(소형 은행주들이) 얼마나 많이 추락했는지를 고려하면 반등이 나오는 것도 당연하다. 은행의 어려움은 생존 능력보다는 수익 전망에 달렸다"라고 말했음. 그는 "더 이상의 뱅크런은 없으며, 상황은 진정되고 있다"라고 전했음.
11.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2.79포인트(10.52%) 하락한 23.73을 나타냈음.
◇채권시장
1. 연합인포맥스(화면번호 6532)에 따르면 오후 3시(이하 미 동부시각) 현재 뉴욕채권시장에서 10년물 국채수익률은 전거래일 3시 기준보다 11.10bp 오른 3.629%에 거래됐음.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수익률은 전일 3시보다 17.90bp 상승한 4.196%였음. 국채 30년물 수익률은 전장 3시보다 11.20bp 오른 3.761%를 나타냈음. 10년물과 2년물 격차는 전거래일 -49.9bp에서 -56.7bp로 마이너스폭이 약간 확대됐음.
2. 시장 참가자들은 이날 발표된 미국 2월 CPI에 주목했음. 미국 노동부는 올해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동월대비 6.0% 올랐다고 밝혔음. 지난 1월 6.4%를 기록한 것보다 둔화된 것으로, 월가 예상치인 6.0%에 부합했음. 2월 CPI는 전월대비로는 0.4% 올라 지난 1월 0.5%보다 약간 누그러졌음. 변동성이 큰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2월에 전년동월대비 5.5%, 전월대비 0.5% 올랐음. 2월 근원 CPI의 전년동월대비 상승폭은 지난 1월 5.6%보다 낮아졌고, 전월대비 상승폭은 1월 0.4%보다 더 올랐음.
3. 인플레이션이 지난 1월보다 완화된 것으로 나왔지만 여전히 견조한 흐름을 보이면서 시장 참가자들은 채권 매도에 나섰음. 2년물 미 국채수익률은 이날은 4%대로 다시 반등했음. 2년물 수익률은 장중 한때 4.40%대로 고점을 기록했음. 미 국채 2년물 수익률은 최근 60bp 이상 폭락하면서 은행 파산 여파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와 금리 인상폭 확대 기대 약화를 반영한 것을 빠르게 되돌렸음. 10년물 미 국채수익률은 장중 3.67%까지 고점을 높였고, 30년물 수익률은 3.79%까지 고점이 높아졌음.
4. 채권시장은 최근 연달아 발표된 은행들의 파산 소식과 견조한 미국 경제지표에 따라 등락을 거듭하면서 높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음. 채권시장 변동성 지수인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의 MOVE 지수는 이날 173.59까지 치솟아 지난 2009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음. MOVE지수는 올해 들어 지난 2월1일에 97.33에 저점을 기록한 후 불과 한 달 반 만에 76포인트 이상 급등했음.
5. 은행권 리스크는 여전히 위험회피 요인으로 남아있음. 최근 SVB와 함께 시그니처은행 등이 문을 닫는 상황에 이어 전일 크레디트스위스(CS)의 연례보고서에서 중대한 약점이 발견된 것으로 전해졌음. CS의 연례 보고서에서는 "2년 동안 재무 보고에 대한 그룹 내부의 통제가 효과적이지 않았다"며 "이에 따라 경영진은 당사의 공시 통제 및 절차가 효과적이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언급했음. 아울러 "2022 회계연도의 재무제표를 감사한 공인회계법인 PwC는 재무보고에 대한 그룹 내부 통제의 효과에 부정적 의견을 발표했다"고 말했음.
6. 채권시장은 미 연준이 금융 안정 리스크에 주목하며 금리인상 속도를 조절할 것으로 봤으나 여전히 인플레이션에 주목했음. CPI 발표 이후 시장 참가자들은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25bp 금리인상으로 기울었음. 연방기금 금리선물시장은 연준이 3월에 25bp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을 76.0%로 반영했음.
7. 은행권 리스크 이후 불거진 동결 가능성은 24.0%로 낮아졌음.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에단 해리스 글로벌 이코노미스트는 "채권시장이 최근 연준을 배제한 것으로 보였지만 우리가 보기에는 그럴 것 같지 않다"고 말했음.
8. 존 마이어 글로벌X 최고투자책임자는 "은행 시스템의 리스크에 대한 우려로 최근 며칠 동안 큰 움직임을 보였지만 CPI 결과는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고, 고착화돼 있음을 보여준다"며 "이는 대부분 예상한 대로였다"고 말했음. 그는 "지방 은행들의 주가가 큰 수익을 내면서 은행업계는 약간 안도의 한숨을 쉬고 있다'고 말했음.
◇외환시장
1. 연합인포맥스(화면번호 6411)에 따르면 오후 4시 현재(이하 미국 동부시각) 뉴욕 외환시장에서 달러화는 134.087엔을 기록, 전장 뉴욕 후장 가격인 133.175엔보다 0.912엔(0.68%) 상승했음. 유로화는 유로당 1.07388달러에 움직여, 전장 가격인 1.07295달러보다 0.00093달러(0.09%) 올랐음.
유로는 엔에 유로당 143.99엔을 기록, 전장 142.93엔보다 1.06엔(0.74%) 상승했음.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 인덱스는 전장 103.594와 거의 같은 수준인 103.597을 기록했음.
2. 달러 인덱스가 보합권을 중심으로 공방을 벌였음.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한 것으로 확인된 가운데 일본 엔화 등에 대해서는 전날 과도한 약세에 대한 되돌림이 진행된 것으로 진단됐음.
3. 시장은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력 등을 감안할 때 연준이 기준금리 인상 행보를 멈추기 보다는 베이비스텝인 25bp 인상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데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풀이됐음.
4.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보여주는 ICE달러지수는 103.603 근방에서 거래돼 최근의 하락세에서 소폭 올랐음.
5. 냇웨스트마켓의 전략가인 브라이언 대인저필트는 "연준의 단기적인 결정은 금융 시장과 금융 시스템이 실제로 필요로 하는 것보다는 인플레이션의 요구에 따라 결정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진단했음. 그는 CPI 지표를 언급하면서 "우리가 본 금융 상황과는 별개로 이 지표는 꽤나 강한 수준이다"고 강조했음. 그는 "최근 우리가 겪었던 금융 시장의 스트레스 이전에 이 지표가 강세를 보이면 연준이 이번 회의에서도 50bp 인상에 나서는 등 더 공격적으로 갈 수 있다는 점도 매우 분명하다"고 지적했음. 그는 "그러나 기대는 분명히 바뀌었다"면서 "시장은 이제 지표로 좀 더 뒤돌아보는 것으로 관측된다"고 덧붙였음.
6. RBC의 전략가인 알빈 탄은 "본질적으로 매우 신경 쓰이는 시장이다"고 진단했음. 그는 "우리는 간밤에 달러화의 약세가 일부 되돌려지는 것으로 확인했지만 상당히 부분적인 것"이라고 지적했음. 그는 "당장 이날 CPI 발표가 있다"면서 "이는 기본적으로 다음 주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 이전에 나오는 마지막 경제지표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음.
◇원유시장
1. 뉴욕상업거래소에서 4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3.47달러(4.64%) 하락한 배럴당 71.33달러에 거래를 마쳤음. 유가는 이틀 연속 하락했음. 이틀간 하락률은 6.98%에 달함. 이날 종가는 지난해 12월 9일 이후 최저.
2. 미국 은행주들은 폭락 하루 만에 다시 반등에 나서고 있으나, 한동안 은행권에 대한 우려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특히 투자자들은 금융시장 불안에 따른 경기 둔화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음. 이번 사태가 신용경색으로 확산하지는 않겠지만, 은행권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기업들의 투자 타격으로 경기가 더욱 얼어붙을 수 있기 때문.
3. 물가 둔화에도 여전히 CPI가 연준의 목표치를 크게 웃돌아 연준의 긴축 기조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세븐스 리포트 리서치의 애널리스트들은 이날 보고서에서 "현재 펀더멘털상 공급 측면은 꽤 안정적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지만, 중국 경제 회복에 대한 낙관론이 약해지고 있고, 침체 공포가 여전히 높다는 점을 고려할 때 위험은 아래쪽으로 기울고 있다"라고 지적했음. 이들은 차트상 WTI 가격이 올해 저점인 73달러를 지지선으로, 고점 82달러를 저항선으로 두고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음.
4. 석유수출국기구(OPEC)는 이날 발표한 월간 보고서에서 올해 글로벌 석유 수요 전망치를 하루 230만배럴 늘어난 하루 1억190만배럴로 유지했음. OPEC은 중국 수요 증가에 대한 전망이 미국과 유럽의 수요 하향 수정으로 상쇄됐다고 말했음.
출처 : 연합인포맥스728x90반응형LIST'글로벌 주식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일 증시 주요 포인트 (0) 2023.03.16 금일 증시 주요 포인트 (0) 2023.03.15 03월13일 주식,채권,FX,유가 리뷰 & 프리뷰 (1) 2023.03.13 개장 전 분위기 (0) 2023.03.10 금요 증시 주요 포인트 (0) 2023.03.10